본문 바로가기

PM부트캠프

CGV의 플로우차트 회고! JSON, Git, Github, 그리고 QA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4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W6와 W7 학습이 끝난 시점에서, 오늘은 지난 W6D1 과제를 회고해보는 시간을 가져봤다. W6D1 과제를 우선 가시 읽어보고, 추가할 내용들을 아래 이어서 작성해봤다. W6D1 과제 1. 분석할 프로덕트 선정: CGV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cgv.android.movieapp&hl=ko&gl=US CGV - Google Play 앱 더 빠르게, 더 자주 만날 수 있는 내 손안의 CGV play.google.com https://apps.apple.com/kr/app/cgv/id370441190 ‎CGV ‎이제 CGV앱으로 더욱 풍부한 영화 정보와 편리해진 예매를 만나보세요. 1) 메.. 더보기
카카오페이 단건 결제 API 탐구🔍 스테이징 서버, API, 그리고 RESTful API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3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오늘은 배운 내용에 따라 카카오페이의 API를 한 번 살펴봤다! 그리고 '단건 결제' 기능을 중심으로 API의 기능과 구조를 정리해보았다. 카카오페이 (Kakao Pay) 카카오는 2014년 국내 최초 간편 결제 시스템인 카카오페이를 구축했다. 그리고 지금은 카카오톡 송금 서비스, 대출 비교 서비스, 카카오페이 증권 및 펀드 상품, KP보험 상품 등을 제공하고 있다. 카카오톡을 이용하는 이용자라면, 카카오페이도 어렵지않게 이용해봤을 것이다. 카카오페이 API는 실물 카드나 현금 없이도 PC와 모바일 웹, 모바일 앱에서 손쉽게 결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들은 별도의 앱을 설치하지 않고 카카오톡에서 비밀번호 하나로 편리하고 안전하게 결제할 수 있다. .. 더보기
무신사 서비스 유형 탐구🔍 네이티브 앱, 하이브리드 앱, 웹 앱 방식을 선정하는 기준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2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오늘은 '무신사'의 프로덕트 유형을 살펴보고, 프로덕트 런칭 당시의 유형을 선택한 이유를 고민하고 찾아보며, 다른 유형으로의 확장을 구상해보는 과제를 해보았다. 무신사의 프로덕트 유형 프로덕트 유형을 살펴보는데 도움이 될 것 같아, 국내 IT 기업들의 기술 스택을 볼 수 있는 '코드너리'라는 사이트를 통해 무신사 서비스의 기술 스택을 먼저 살펴봤다. * 참고로 '데브옵스'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의 하나로, 개발(development)과 운영(operation)을 결합한 혼성어이다. DevOps는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빠른 속도로 제공할 수 있도록 조직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문화 철학, 방식 및 도구의 조합으로, 기존의 소프트웨어 개발 및 인프라 관리 .. 더보기
네이티브 앱, 하이브리드 앱, 웹 앱 방식을 선정하는 기준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2 오늘은 네이티브 앱, 하이브리드 앱, 웹 앱 방식을 선정하는 기준을 중심으로 공부했다. 개발 과정에서 기술 스택을 선정하는 데 중요한 사항들은 무엇이 있는지도 함께 살펴보자! . . 앱 서비스의 이해 최근의 앱 개발은 웹 - 앱 통합환경 구현 서비스들이 많다. 그렇다면 모바일 기반의 앱서비스와 PC기반 웹서비스는 얼마나 차이가 날까? 모바일 기반 앱 서비스는 개발이나 실행 방법에 따라 총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1) 네이티브 앱 모바일 기기에 최적화된 앱이다. 기기정보에 직접 접근할 수 있고, 관련 정보로 데이터도 추적할 수 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나 앱스토어에 등록하여 판매 및 설치도 가능하다. 게임, SNS 서비스가 주로 네이티브를 선택한다. 네이티브 앱은 크게 Swift언어로 개발된 iOS와 C.. 더보기
코로나19와 비만율의 관계는? 데이터 시각화와 DDDM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6D4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오늘 과제는 지난 W6D3과제에 이어서, 가설을 확인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확인하고 시각화해보고자 했다. * 데이터 가공 및 시각화 모두 우선 엑셀을 사용하였다. 가설1.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2020년 1월 20일부터~2021년까지, 코로나19 발생 이전보다 비만율이 증가했을 것이다. 1) 데이터 가공. 연령, 나이의 특성보다, 2019~2021 기간동안 비만율의 전반적인 변화 추이를 보고자하여, 원래 보고자 하였던 '비만 유병률(체질량지수 기준) 추이(2019~2020)' 통계 자료에서, 성별로만 구분하고, 연령을 '19세 이상'으로 합하여, 남성의 비만율 변화 추이와 여성의 비만율 변화 추이만 보고자 했다. + 추가적으로, 이전 과제.. 더보기
코로나19와 비만율의 관계는? 고객분석 도구, GA, 그리고 Amplitude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6D3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오늘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신뢰도 높은 채널을 알아보고, 데이터 간의 관계를 가설로 세워, 이를 검증할 수 있는 지표를 선정하고, 실제 데이터를 분석하여 결과를 올바르게 해석해보는 과정을 담은 과제를 작성해봤다. 1. Kaggle 또는 공공데이터포털에 접속하여 본인이 관심 있는 주제의 데이터를 찾고 다운받기. 인스타그램이나 다른 SNS를 하다보면, 피트니스 관련 앱의 광고를 많이 볼 수 있었는데, 그러면서 자연스레 궁금증이 생겼다. 피트니스 앱이 시중에 많이 나와있다는 것은, 홈트를 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 어쩌면 비만율이 증가했기때문에, 피트니스 시장이 더욱 커.. 더보기
리멤버의 프로덕트 유형 및 사업 단계를 살펴보자🔍 린 분석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6D2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오늘은 핵심 개념인 '린 분석'을 중심으로, 사업 단계별, 프로덕트 유형별 필요한 제품 성장 지표와 분석 방법에 대해 학습했다. 아직 린 분석이 무엇이다라고 명확하게 설명은 못하겠지만.. 과제를 하면서 감을 좀 찾아볼 수 있길..!! 바란다!! 🙏 과제: 프로덕트 하나를 선택하여, 어떤 유형의 서비스에 해당하고, 어떤 사업 단계에 있는지, 그리고 어떤 전략을 채택하고 있는지 생각해보기. 1. 분석할 프로덕트 선정: 리멤버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kr.co.rememberapp&hl=ko&gl=US 리멤버 - 직장인 필수앱 - Google Play 앱 일 잘하는 직장인이라면 리멤버가 필수? 스카웃.. 더보기
OKR, 목표 및 핵심 결과 지표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3D4 이렇게 또 한 주의 세션이 끝났다!! 매일 충실하게 보내니까 시간도 정말 빨리 가는 것 같다🥹. 부트캠프가 끝났을 때 쯤이면.. 나는 얼마나 많이 성장해 있을까?? 빡센 나날이지만, 기쁜 마음으로 13주 후의 내 모습을 기대하고 있다. . . 그럼 오늘 배운 OKR도 한 번 복습해볼까? 우리는 지금 잘 가고 있는걸까? 지난 시간 KPI를 통해 핵심 지표를 설정하고 팀과 공유해서, '우리는 지금 잘 가고 있는걸까?' 를 판단할 수 있었다. 하지만 KPI 외에도, 핵심지표를 설정할 수 있고, 관리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OKR이다. OKR, 목표 및 핵심 결과 지표 OKR 이란 'Objective and Key Results'로, 목표 및 핵심 결과 지표를 이야기 한다. 조직적 차원에서.. 더보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