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덕트매니저

CGV의 플로우차트 회고! JSON, Git, Github, 그리고 QA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4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W6와 W7 학습이 끝난 시점에서, 오늘은 지난 W6D1 과제를 회고해보는 시간을 가져봤다. W6D1 과제를 우선 가시 읽어보고, 추가할 내용들을 아래 이어서 작성해봤다. W6D1 과제 1. 분석할 프로덕트 선정: CGV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cgv.android.movieapp&hl=ko&gl=US CGV - Google Play 앱 더 빠르게, 더 자주 만날 수 있는 내 손안의 CGV play.google.com https://apps.apple.com/kr/app/cgv/id370441190 ‎CGV ‎이제 CGV앱으로 더욱 풍부한 영화 정보와 편리해진 예매를 만나보세요. 1) 메.. 더보기
JSON, Git, Github, 그리고 QA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4 오늘은 IT프로덕트에서 JSON의 역할과 Git으로 개발 코드를 관리해야 하는 이유, 그리고 QA를 PM의 주도로 진행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공부해보자! . . JSON 이해하기 API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요청과 응답 안에 '데이터'를 넣어 전달해야 하는데, 이때 데이터를 담는 일정한 형식이 필요하다. JSON은 데이터를 주고 받는 가장 대표적인 방식이다. PM의 경우, JSON 파일을 열어 찾고자 하는 키 값에 대응하는 밸류를 읽을 줄 알면 된다고 한다. JSON의 형식: { 키1(Key): 값1(Value), 키2(Key): 값2(Value), } 데이터는 크게 중괄호로 묶고, 이름과 값의 쌍으로 구성된다. 안에 콜론(:)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데이터의 이름, 키(key)를, 오른쪽에는 그에 대응하는.. 더보기
스테이징 서버, API, 그리고 RESTful API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3 오늘은 출시 전 제품의 테스트 과정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IT 서비스에서 API의 역할은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자. . . 개발팀과 소통하기 사용자와 클라이언트, 즉 프론트엔드 영역을 개발하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백엔드 영역을 개발하는 백엔드 개발자, 서비스 흐름에 따라 풀스택 개발자, UI디자이너, 퍼블리셔, 데이터엔지니어 등이 있다고 앞서 공부했었다. 개발자의 직무명은 제품의 종류, 팀 구성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한다. 다양한 전문가로 이뤄진 개발팀과 원활한 소통을 할 수 있기 위해, 기업은 개발 리드(Tech Lead)를 둔다. 개발 리드는 팀의 소통과 업무 전반을 책임진다. 보통은 시니어 리드 또는 리드 전담 인력이 개발 리드 역할을 하게 되고, 경영진 레벨로 확장되면 CTO가.. 더보기
무신사 서비스 유형 탐구🔍 네이티브 앱, 하이브리드 앱, 웹 앱 방식을 선정하는 기준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2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오늘은 '무신사'의 프로덕트 유형을 살펴보고, 프로덕트 런칭 당시의 유형을 선택한 이유를 고민하고 찾아보며, 다른 유형으로의 확장을 구상해보는 과제를 해보았다. 무신사의 프로덕트 유형 프로덕트 유형을 살펴보는데 도움이 될 것 같아, 국내 IT 기업들의 기술 스택을 볼 수 있는 '코드너리'라는 사이트를 통해 무신사 서비스의 기술 스택을 먼저 살펴봤다. * 참고로 '데브옵스'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의 하나로, 개발(development)과 운영(operation)을 결합한 혼성어이다. DevOps는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빠른 속도로 제공할 수 있도록 조직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문화 철학, 방식 및 도구의 조합으로, 기존의 소프트웨어 개발 및 인프라 관리 .. 더보기
네이티브 앱, 하이브리드 앱, 웹 앱 방식을 선정하는 기준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2 오늘은 네이티브 앱, 하이브리드 앱, 웹 앱 방식을 선정하는 기준을 중심으로 공부했다. 개발 과정에서 기술 스택을 선정하는 데 중요한 사항들은 무엇이 있는지도 함께 살펴보자! . . 앱 서비스의 이해 최근의 앱 개발은 웹 - 앱 통합환경 구현 서비스들이 많다. 그렇다면 모바일 기반의 앱서비스와 PC기반 웹서비스는 얼마나 차이가 날까? 모바일 기반 앱 서비스는 개발이나 실행 방법에 따라 총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1) 네이티브 앱 모바일 기기에 최적화된 앱이다. 기기정보에 직접 접근할 수 있고, 관련 정보로 데이터도 추적할 수 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나 앱스토어에 등록하여 판매 및 설치도 가능하다. 게임, SNS 서비스가 주로 네이티브를 선택한다. 네이티브 앱은 크게 Swift언어로 개발된 iOS와 C.. 더보기
29cm의 웹페이지를 분석해보자! 서버, 클라이언트, 그리고 프레임워크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1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오늘은 개발자 도구를 통해 29cm 웹 페이지의 구조와 디자인 요소, 그리고 페이지 내 인터랙션을 분석해보는 과제를 해봤다. HTML : 화면의 구성 요소들이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지 구조를 정리해 분석해보자. HTML은 웹페이지의 뼈대를 만드는 언어이다. 뼈대를 형성하기 위해 HTML은 기본 구조인 와 로 구성된다. head태그는 웹페이지의 정보를 담고 있는 범위이고, body태그는 웹페이지의 구조를 담고 있는 범위로 볼 수 있다. 그럼 29cm에서는 head태그와 body태그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자. : "감도 깊은 취향 셀렉트샵 29CM" 이라는 title 정보를 먼저 확인할 수 있었다. 태그는 웹페이지의 정보를 담고 있는 영역으로, 검색.. 더보기
서버, 클라이언트, 그리고 프레임워크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1 오늘은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구조와 역할, 그리고 현대의 개발에서 프레임워크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공부했다. 그럼 7주차 공부도 힘내보자! . . IT 서비스란? IT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정보를 어떻게 다루느냐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구성한다. IT 서비스의 기본적인 구조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있다. 클라이언트는 서비스에 접근한 사용자의 디바이스이고,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주체로 서버를 제공하는 컴퓨터를 의미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인터넷으로 연결되고, 서로 통신을 주고받으면서 서비스를 구성한다. 사용자는 웹이나 모바일 등 다양한 경로로 클라이언트에 접속하고, 서비스를 만난다. 이때 접점은 서비스의 UI가 된다. 사용자는 UI를 인식하고는 곧 여러 기능을 조작한다. 클라이언트는.. 더보기
코로나19와 비만율의 관계는? 데이터 시각화와 DDDM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6D4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오늘 과제는 지난 W6D3과제에 이어서, 가설을 확인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확인하고 시각화해보고자 했다. * 데이터 가공 및 시각화 모두 우선 엑셀을 사용하였다. 가설1.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2020년 1월 20일부터~2021년까지, 코로나19 발생 이전보다 비만율이 증가했을 것이다. 1) 데이터 가공. 연령, 나이의 특성보다, 2019~2021 기간동안 비만율의 전반적인 변화 추이를 보고자하여, 원래 보고자 하였던 '비만 유병률(체질량지수 기준) 추이(2019~2020)' 통계 자료에서, 성별로만 구분하고, 연령을 '19세 이상'으로 합하여, 남성의 비만율 변화 추이와 여성의 비만율 변화 추이만 보고자 했다. + 추가적으로, 이전 과제.. 더보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