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ON, Git, Github, 그리고 QA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4
오늘은 IT프로덕트에서 JSON의 역할과 Git으로 개발 코드를 관리해야 하는 이유, 그리고 QA를 PM의 주도로 진행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공부해보자! . . JSON 이해하기 API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요청과 응답 안에 '데이터'를 넣어 전달해야 하는데, 이때 데이터를 담는 일정한 형식이 필요하다. JSON은 데이터를 주고 받는 가장 대표적인 방식이다. PM의 경우, JSON 파일을 열어 찾고자 하는 키 값에 대응하는 밸류를 읽을 줄 알면 된다고 한다. JSON의 형식: { 키1(Key): 값1(Value), 키2(Key): 값2(Value), } 데이터는 크게 중괄호로 묶고, 이름과 값의 쌍으로 구성된다. 안에 콜론(:)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데이터의 이름, 키(key)를, 오른쪽에는 그에 대응하는..
더보기
스테이징 서버, API, 그리고 RESTful API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3
오늘은 출시 전 제품의 테스트 과정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IT 서비스에서 API의 역할은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자. . . 개발팀과 소통하기 사용자와 클라이언트, 즉 프론트엔드 영역을 개발하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백엔드 영역을 개발하는 백엔드 개발자, 서비스 흐름에 따라 풀스택 개발자, UI디자이너, 퍼블리셔, 데이터엔지니어 등이 있다고 앞서 공부했었다. 개발자의 직무명은 제품의 종류, 팀 구성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한다. 다양한 전문가로 이뤄진 개발팀과 원활한 소통을 할 수 있기 위해, 기업은 개발 리드(Tech Lead)를 둔다. 개발 리드는 팀의 소통과 업무 전반을 책임진다. 보통은 시니어 리드 또는 리드 전담 인력이 개발 리드 역할을 하게 되고, 경영진 레벨로 확장되면 CTO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