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삐약이🐥

시장조사&퍼플오션과 대안재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1D4

chaemrry 2023. 2. 9. 12:46

오늘은 어떻게 시작해보면 좋을까 생각하다가..

음.. 뜬금 없지만,

매일 무언가에 집중할 수 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사실 엄청난 행복이구나..

라는 생각이 들어서 공유해보고 싶었다.

 

꿈과 목표가 있는 우리 모두 화이팅이다! ✨

꿈을 위해 cheers! 🍸


오늘은 PM이 알아야할 시장조사 그리고 그 방법에 대해 공부했다. 

 

시장조사는 전략의 시작!

 

시장조사는 전략의 시작이라 할 수 있는데, 

프로덕트팀의 전략, PM이 전략을 수립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전 글을 참고해보길 바란다 👇

 

2023.02.08 - [PM삐약이🐥]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1D3_좋은 제품 전략과 수립 방법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1D3_좋은 제품 전략과 수립 방법

부트캠프에 참여하기 전에는 PM이 무엇인지조차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었다. 머릿속에 새하얀 백지 한 장만이 덩그러니 놓여있던 느낌이었다면, 3일차인 오늘은 백지에 PM이라고 하는 건축물의

chaemrry.tistory.com

 

시장조사에서는 시장 규모, 대표 고객층, 시장트렌드, 경쟁사, 경쟁사 시장 점유율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은, 시장조사가 단순 자료조사에만 그치면 안되고, 인사이트를 발견하는 것에 초점을 둬야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인사이트를 도출한 후에는 나의 프로덕트가 성공할 수 밖에 없는 이유를 추가적으로 가공하고 개발해야 한다. 

 

 

시장조사를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르겠는 분들은 다음 카테고리들을 참고해보면 좋을 것 같다: 

  • 논문/리포트 (ex. 국회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학술정보연구원RISS)
  • 전문 연구 리포트 (ex. 삼성글로벌리서치, LG경영연구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기타 (ex. 국가통계포털, 빅카인즈, 서베이몽키, 증권사 리포트) 

여기서 팁💡:

만약 시장 규모에 대한 자료가 없다면, 시장 규모는 대표 플레이어의 매출을 모두 더해주는 방식으로 추정할 수 있다!

 

시장조사를 얼마나 유의미하게 하느냐에 따라 주니어PM, 시니어PM을 나누는 곳도 있다고 하니!! 

번거롭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퀄리티 높은 데이터를 얻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PM이 필요한 능력 중에 원하는 정보를 잘 찾는 능력🌟 + 다른 팀원들도 이해하기 쉽게 잘 정리하여 문서화하는 능력🌟도 있다는 것을 꼭 기억하고! 평소에 이런 연습을 많이 해놓는걸 추천한다! 

 

 

포지셔닝

 

마케팅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 쯤 들어봤을 법한 마케팅 클래식 도서 <포지셔닝>,

 

<포지셔닝> 추천합니다!!

이 책에서도 포지셔닝에 대해서 자세하게 배울 수 있는데, 간단히 말하자면,

포지셔닝이란 브랜드가 차별화된 브랜드의 이미지를 고객에게 인지시키는 활동을 말한다. 

 

그래서 보통 포지셔닝을 브랜딩 하는 단계에서 많이 이야기 하는데, 포지셔닝이 결코 기업 단계에서만 이야기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오늘 공부하면서 알게 되었다. 

 

'Positioning', 말그대로 위치 설정을 한다는 것이고, 브랜드 전반적인 이미지가 되었든, 구체적인 하나의 프로덕트가 되었든, 그것을 고객으로 하여금 어떻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건지, 어떻게 자리잡게 할 건지를 담은 전략의 일환이다. 

 

포지셔닝 전략은 어떻게 세울까? 

 

포지셔닝 프레임워크를 적용하기 전에, 앞서 시장조사 단계에서 어떤 경쟁 브랜드가 있는지, 그들은 어떻게 포지셔닝을 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경쟁 브랜드 및 그들의 포지셔닝을 파악한 후에는 포지셔닝맵을 그려서 자사 프로덕트를 어떻게 포지셔닝할지 고민하는데, 포지셔닝맵은 IR덱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IR덱: 투자 유치를 위한 사업 계획서)

 

 

하이퀄리티 하이프라이스 원츄..

 

포지셔닝맵을 그리는 법은 어렵지 않다, 주의해야할 점은, 

그리기 전에 전 제품을 사용할 고객이 누군지 정의해야하고, 고객이 소비할 때 고려하는 대표적인 속성 2개를 설정하면 된다. 위 이미지에서는 가격과 품질이 x축과 y축을 대표했다. 

 

포지셔닝맵을 다 그렸다면, 이제 타 브랜드와 비교하면서 어떻게 자사 프로덕트를 포지셔닝할지 고민하면 된다.

물론 포지셔닝을 하는 목적도 효과적으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함! 이라는 것을 잊지말자. 

 

 

퍼플오션

 

'퍼플오션'은 포지셔닝 개념으로부터 새로 생긴 개념이라고 한다. 

블루오션, 레드오션은 흔히 들어봤는데..블루+레드를 섞으면 보라색이라구 퍼플오션이라는 사실!!

 

퍼플오션이란 이미 잘 알려져 있어서 경쟁이 치열한 특정 산업내 시장에서 발상의 전환을 통하여 만든 새로운 가치의 시장 또는 그런 시장을 만드는 경영전략을 뜻한다. 

 

넷플릭스를 예시로 퍼플오션을 이해해보자!

 

두둥

 

넷플릭스가 대표적으로 퍼플오션 전략을 사용했다고 할 수 있다. 

  • 과거 영화를 보려면 영화관에 가야만 하는 시절에서 시작해 영화산업은 크게 발전했다.
  • 그리고 사람들은 영화관을 가야만 영화를 볼 수 있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비디오를 만들기 시작했고, 비디오 시장의 매출이 크게 증가했다.
  • 비디오를 빌리고, 반납하고, 이 과정도 불편하다는 것을 사람들은 깨닫게 되었고, 시장에는 비디오를 대체하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만들기 시작했고, 그렇게 스트리밍 시장은 지금 콘텐츠 시장을 장악하게 되었다. 다음에는 또 뭐가 나올까..?

 

많은 사람들이 레드오션을 피해 블루오션인 시장을 탐색하는데, 이게 꼭 정답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 이게 핵심이다.

자본의 크기가 작을수록 레드오션이 적합할 수 있고, 시장의 파이를 가져올 수 있는 퍼플오션 전략으로 승부를 보는 것이 더 높은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고 한다.

 

조금 헷갈리기도..??

 

다시 정리하자면,

퍼플오션과 레드오션의 가장 큰 차이점이기도 한데, 퍼플오션은 경쟁이 치열한 레드오션으로 진입하는 것이 목적이 아닌, 레드오션에서 기회를 발견해서 레드오션으로부터 탈출을 목적으로 한다는 것이 퍼플오션이라는 것! 이렇게 이해하면 조금 더 쉬운 것 같다. 

 

레드오션이 마냥 나쁘다고만 생각했었는데..흠 이 부분도 공부하면서 매우 흥미롭다고 생각했다. 

 

대안재

 

돼지가 똑똑하대요 여러분..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방법, 즉 전략은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니다. 

기존의 전략을 퍼플오션 전략으로 바꾸고 싶다면, 어떻게 접근하면 좋을까? 

 

이때 활용해보면 좋은게 '대안재' 개념이다. 

 

대안재는 기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제품을 말하는데, 대안재를 이해한다면 아이데이션이 쉬워질 수 있다. '삐삐 >> 핸드폰 >> 카카오톡' 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집 전화기 외에는 연락할 방법이 없어서 '삐삐'가 탄생했고, 삐삐는 전화기를 찾아다녀야 하고, 기다려야만 소통을 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고, '핸드폰'이 이를 해결했다. 전화나 문자를 개인 핸드폰으로 할 수 있게 되었지만, 비용이 비싸다는 문제점, 그리고 실시간으로 확인이 되지 않는 문제가 또 생겼고, 카카오톡이 등장하면서 과거의 불편함들이 해소되었다. 

 

.

.

 

시장조사와 퍼플오션과 관련하여 작성한 과제가 궁금하다면!!

다음 글에서 만나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