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와 비만율의 관계는? 고객분석 도구, GA, 그리고 Amplitude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6D3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오늘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신뢰도 높은 채널을 알아보고,
데이터 간의 관계를 가설로 세워, 이를 검증할 수 있는 지표를 선정하고,
실제 데이터를 분석하여 결과를 올바르게 해석해보는 과정을 담은 과제를 작성해봤다.
1. Kaggle 또는 공공데이터포털에 접속하여 본인이 관심 있는 주제의 데이터를 찾고 다운받기.
인스타그램이나 다른 SNS를 하다보면, 피트니스 관련 앱의 광고를 많이 볼 수 있었는데, 그러면서 자연스레 궁금증이 생겼다. 피트니스 앱이 시중에 많이 나와있다는 것은, 홈트를 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 어쩌면 비만율이 증가했기때문에, 피트니스 시장이 더욱 커져서 기업가들이 피트니스 카테고리에 주목하기 시작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조금 더 조사를 해보았다..
2021년 기준, 한 해 동안 건강 및 피트니스 앱의 전세계 다운로드 숫자는 24.8억 건을 기록하여, 팬데믹 이전인 2019년 대비 26% 증가했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성장 추세는 한국 시장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전세계적으로 2020년 2분기의 폭발적 성장 이후 건강 및 피트니스 앱은 하락세를 보였으나, 한국에서는 1,417만 건의 다운로드를 기록하며 전년 동분기 대비 10% 가량 성장한 모습을 보였다.
메조미디어랩에서 조사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2021년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한국의 국내 건강 시장의 규모가 253조로 전년 동분기 214조 대비 18% 성장했다고 한다. 디지털 건강 시장도 증가하고 있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2020년 보고서에서는 국내 디지털 건강 시장의 규모가 2019년 2.2조에서 2024년에는 4.7조인 144%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조사 결과, 확실히 피트니스 시장의 규모가 커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 통계 분석 자료에서는, 피트니스 시장의 규모가 커진 이유로 코로나19를 이야기하고 있었다. 코로나로 사람들이 건강에 관심이 많아지고, 혼자서도 할 수 있는 운동에 관심이 늘어나면서, 피트니스 앱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고 추측하고 있었다.
흠..🤔
정말 그런걸까??
그래서 이를 혼자 탐구해보고자 KOSIS를 통해 관련 데이터를 다운받아봤다.
https://kosis.kr/index/index.do
KOSIS 국가통계포털
내가 본 통계표 최근 본 통계표 25개가 저장됩니다. 닫기
kosis.kr
1) 비만 유병률(체질량지수 기준) 추이(2019~2020)
성별(1) |
특성별(1) |
특성별(2) |
2019 | 2020 | 2021 | |||
응답자수 (명) | 분율 (%) | 응답자수 (명) | 분율 (%) | 응답자수 (명) | 분율 (%) | |||
남자 | 연령별 | 19-29세 | 390 | 37.3 | 399 | 41.5 | 321 | 40.0 |
30-39세 | 426 | 46.4 | 339 | 58.2 | 282 | 51.4 | ||
40-49세 | 492 | 45.0 | 420 | 50.7 | 437 | 57.7 | ||
50-59세 | 485 | 43.4 | 480 | 48.1 | 422 | 41.9 | ||
60-69세 | 500 | 39.9 | 481 | 44.0 | 475 | 41.0 | ||
70세이상 | 490 | 30.4 | 501 | 31.9 | 519 | 29.2 | ||
여자 | 연령별 | 19-29세 | 357 | 16.5 | 397 | 22.8 | 345 | 15.9 |
30-39세 | 480 | 21.6 | 417 | 22.7 | 353 | 25.7 | ||
40-49세 | 624 | 25.8 | 545 | 26.8 | 516 | 27.2 | ||
50-59세 | 695 | 29.6 | 579 | 32.4 | 599 | 31.6 | ||
60-69세 | 632 | 34.9 | 627 | 38.4 | 630 | 40.3 | ||
70세이상 | 661 | 37.0 | 630 | 37.8 | 675 | 36.6 |
'비만 유병률 추이' 통계 자료에서는 위 첨부한 표에서 볼 수 있는 필드를 제외하고, '거주지역별', '소득수준별'로도 데이터를 상세하게 볼 수 있었지만, 이번 탐구에서는 한국 사회의 전반적인 수준을 보는 것에 초점을 두고자 하여, 세부지표는 제외하고 보려고 했다.
2) 가구구성별 가구당 월평균 가계수지 (전국,1인이상 | 2019~2020)
가구 구성별 | 가계수지항목별 | 2019전체가구 | 2020전체가구 | 2021전체가구 |
전체 평균 | 가구원수 (명) | 2.41 | 2.40 | 2.36 |
소비지출 | 2,456,678 | 2,400,123 | 2,494,854 | |
01.식료품 · 비주류음료 | 332,558 | 381,056 | 397,154 | |
곡물 | 18,517 | 19,347 | 20,199 | |
곡물가공품 | 15,812 | 18,688 | 18,611 | |
빵및떡류 | 22,361 | 24,616 | 26,394 | |
육류 | 48,712 | 60,312 | 65,154 | |
육류가공품 | 12,189 | 14,470 | 14,871 | |
신선수산동물 | 18,697 | 22,111 | 23,611 | |
염건수산동물 | 6,168 | 6,679 | 6,519 | |
기타수산동물가공 | 6,975 | 8,305 | 8,127 | |
유제품및알 | 25,657 | 27,997 | 29,987 | |
유지류 | 2,579 | 3,291 | 3,645 | |
과일및과일가공품 | 37,779 | 39,969 | 42,991 | |
채소및채소가공품 | 33,577 | 41,374 | 41,738 | |
해조및해조가공품 | 3,655 | 3,907 | 3,703 | |
당류및과자류 | 25,168 | 27,375 | 26,955 | |
조미식품 | 12,797 | 15,616 | 15,772 | |
기타식품 | 19,960 | 23,524 | 25,183 | |
커피및차 | 8,239 | 9,110 | 9,414 | |
쥬스및기타음료 | 13,716 | 14,366 | 14,279 | |
02.주류 · 담배 | 35,802 | 37,531 | 39,040 | |
주류 | 13,779 | 15,673 | 17,449 | |
담배 | 22,023 | 21,858 | 21,590 | |
03.의류 · 신발 | 138,180 | 118,085 | 125,742 | |
직물및외의 | 101,116 | 84,441 | 90,627 | |
내의 | 7,857 | 7,928 | 7,701 | |
기타의복 | 5,841 | 5,352 | 5,604 | |
의복관련서비스 | 4,155 | 3,624 | 3,269 | |
신발 | 18,978 | 16,539 | 18,336 | |
신발서비스 | 233 | 201 | 204 | |
04.주거 · 수도 · 광열 | 276,589 | 285,822 | 298,238 | |
실제주거비 | 99,402 | 98,898 | 98,000 | |
주택유지및수선 | 26,670 | 30,968 | 37,115 | |
상하수도및폐기물처리 | 20,260 | 21,680 | 22,697 | |
기타주거관련서비스 | 50,917 | 53,474 | 58,316 | |
연료비 | 79,340 | 80,803 | 82,110 | |
05.가정용품 · 가사서비스 | 115,323 | 126,729 | 130,028 | |
가구및조명 | 17,549 | 19,740 | 22,440 | |
실내장식 | 1,607 | 1,992 | 2,174 | |
가구·조명및장식서비스 | 603 | 686 | 805 | |
가정용섬유 | 7,701 | 8,802 | 8,536 | |
가전및가정용기기 | 37,429 | 41,344 | 38,660 | |
가전관련서비스 | 11,039 | 12,064 | 12,535 | |
가사용품 | 7,805 | 9,729 | 9,913 | |
가정용공구및기타 | 4,377 | 5,624 | 5,757 | |
가사소모품 | 12,333 | 13,750 | 13,523 | |
가사서비스 | 14,879 | 12,999 | 15,685 | |
06.보건 | 202,279 | 220,558 | 226,410 | |
의약품 | 54,207 | 57,619 | 61,595 | |
의료용소모품 | 5,771 | 15,381 | 9,482 | |
보건의료용품및기구 | 10,704 | 11,257 | 10,513 | |
외래의료서비스 | 64,443 | 63,243 | 68,843 | |
치과서비스 | 31,361 | 34,543 | 34,090 | |
기타의료서비스 | 2,965 | 2,429 | 3,441 | |
입원서비스 | 32,829 | 36,086 | 38,447 | |
07.교통 | 295,974 | 288,848 | 286,749 | |
자동차구입 | 92,486 | 106,507 | 92,683 | |
기타운송기구구입 | 1,588 | 1,910 | 2,786 | |
운송기구유지및수리 | 23,463 | 24,942 | 25,405 | |
운송기구연료비 | 96,913 | 89,320 | 99,872 | |
기타개인교통서비스 | 16,788 | 15,456 | 17,281 | |
철도운송 | 6,086 | 4,922 | 5,168 | |
육상운송 | 19,558 | 17,745 | 17,494 | |
기타운송 | 34,687 | 21,493 | 18,883 | |
기타교통관련서비스 | 4,405 | 6,552 | 7,176 | |
08.통신 | 123,006 | 119,775 | 123,815 | |
우편서비스 | 216 | 236 | 245 | |
통신장비 | 28,313 | 27,189 | 26,676 | |
통신서비스 | 94,477 | 92,349 | 96,894 | |
09.오락 · 문화 | 180,301 | 139,539 | 142,607 | |
영상음향기기 | 6,274 | 8,294 | 7,753 | |
사진광학장비 | 633 | 477 | 470 | |
정보처리장치 | 9,304 | 13,715 | 15,101 | |
기록매체 | 290 | 401 | 317 | |
영상음향및정보기기수리 | 586 | 687 | 618 | |
오락문화내구재 | 1,744 * | 780 | 511 * | |
악기기구 | 1,641 | 649 | 912 | |
오락문화내구재유지및수리 | 467 | 403 | 325 | |
장난감및취미용품 | 6,826 | 7,748 | 7,759 | |
캠핑및운동관련용품 | 5,713 | 7,154 | 8,548 | |
화훼관련용품 | 3,927 | 3,753 | 4,605 | |
애완동물관련용품 | 5,284 | 6,540 | 6,670 | |
화훼및애완동물서비스 | 4,478 | 4,476 | 4,787 | |
운동및오락서비스 | 26,818 | 19,716 | 21,578 | |
문화서비스 | 42,154 | 39,090 | 41,664 | |
복권 | 550 | 590 | 693 | |
서적 | 11,069 | 11,144 | 11,221 | |
기타인쇄물 | 904 | 862 | 876 | |
문구 | 3,462 | 3,330 | 3,549 | |
단체여행비 | 48,177 | 9,731 | 4,650 | |
10.교육 | 204,775 | 159,087 | 181,528 | |
정규교육 | 57,348 | 45,036 | 42,036 | |
초등교육 | 4,795 | 3,785 | 4,688 | |
중등교육 | 7,517 | 1,975 | 705 * | |
고등교육 | 45,035 | 39,276 | 36,643 | |
학원및보습교육 | 140,580 | 112,042 | 136,136 | |
학생학원교육 | 128,097 | 102,101 | 122,654 | |
성인학원교육 | 12,484 | 9,941 | 13,481 | |
기타교육 | 6,847 | 2,009 | 3,356 | |
11.음식 · 숙박 | 345,710 | 319,220 | 337,707 | |
식사비 | 333,552 | 308,992 | 324,505 | |
숙박비 | 12,158 | 10,229 | 13,202 | |
12.기타상품 · 서비스 | 206,182 | 203,873 | 205,836 | |
이미용서비스 | 32,212 | 27,340 | 27,415 | |
이미용기기 | 1,483 | 1,633 | 1,682 | |
위생및이미용용품 | 39,110 | 37,692 | 37,875 | |
시계및장신구 | 3,497 | 3,648 | 3,441 | |
기타개인용품 | 13,547 | 11,624 | 13,191 | |
복지시설 | 7,773 | 6,497 | 6,462 | |
보험 | 84,240 | 88,753 | 91,990 | |
기타금융 | 448 | 453 | 561 | |
기타서비스 | 23,873 | 26,232 | 23,220 |
'가구 구성별 가구당 월 평균 가계수지' 통계 자료에서는 2022년 4월까지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동일기간에 대한 비교를 하고 싶어서 해당 기간은 제외하고 보려고 했다. 또 해당 통계자료에서는 세부적으로 가구 주연령수, 가구분포, 소득, 경상소득, 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 가계지출 등 다양한 필드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역시 세부 연령별 특성이나, 세부 인구그룹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 아니므로, 해당 필드는 제외하였다.
3) 규칙적 체육활동 참여율(주 2회 이상) 연도별 비교 (2019~2020)
통계분류(1) | 통계분류(2) | 2019 | 2020 | 2021 |
전체 | 소계 | 52.2 | 47 | 49.8 |
도시규모별 | 대도시 | 51.9 | 49.2 | 50.8 |
중소도시 | 52 | 46 | 49.6 | |
읍, 면 이하 | 53.1 | 44.3 | 47.9 | |
성별 | 남성 | 48.8 | 43.2 | 46.1 |
여성 | 55.6 | 50.8 | 53.5 | |
연령별 | 10대 | 34.1 | 34.6 | 41.4 |
20대 | 55.9 | 44.6 | 53.3 | |
30대 | 55.5 | 46.3 | 48.4 | |
40대 | 56.2 | 48.1 | 50.3 | |
50대 | 51.9 | 50.8 | 48 | |
60대 | 55.3 | 50.2 | 51.8 | |
70세 이상 | 50.1 | 50.1 | 53.4 |
'규칙적 체육활동 참여율 (주2회 이상) 연도별 비교' 통계 자료에서는 위에서 보이는 표와 달리, 추가적으로 학력별 데이터도 볼 수 있었으나, 역시 전체 평균을 보고자 했기 때문에, 이번 자료 분석에서는 해당 데이터들을 제외했다.
데이터 바탕으로 가설 수립하기 + 검증할 수 있는 각 각의 지표 선택하고, 시각화하면 초안 작성하기
가설1.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2020년 1월 20일부터~2021년까지, 코로나19 발생 이전보다 비만율이 증가했을 것이다.
피트니스 앱이 증가한 이유는, 사람들이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기 때문이 아니라, 코로나19로 인해 비만율이 올라가서일 것으로 추측된다. 기업가들은 비만율이 팬데믹 기간동안 증가하는 양상을 보고, 일상생활로 돌아갈 때는 다이어트를 할 사람들이 많아질 것으로 추측했을 수 있고, 이에 피트니스, 건강 관련 서비스를 만들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다. 여기서 비만율의 증가가 직접적으로 피트니스 앱이 많아진 것에 영향을 주었다는 것은 증명할 수 없지만, 적어도 피트니스 앱의 수요가 증가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며, 피트니스 앱의 증가 원인을 기존과 다른 각도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검증지표: '비만 유병률(체질량지수 기준) 추이(2019~2020)'의 비만율.
📈시각화 형태: 시간에 따른 추이를 효과적으로 시각화 하기 위해 꺾은선 그래프 사용.
가설2. 비만율의 변화 양상은 체육활동 참여율의 변화 양상과 반대될 것이다.
2019~2021년 기간동안 비만율이 증가했다면, 증가한 원인으로는 체육활동의 감소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코로나19로 헬스장, 수영장 등 체육활동 시설이 문을 닫게 되고, 외부 활동의 시간이 줄어들어, 이에 비만율이 증가했을 것으로 보는 것이다.
✅검증지표: '비만 유병률(체질량지수 기준) 추이(2019~2020)'의 비만율과 '규칙적 체육활동 참여율 (주2회 이상) 연도별 비교'의 체육활동 참여율.
📈시각화 형태: 시간에 따른 추이 및 변화 양상을 효과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꺾은선 그래프 사용.
가설3. 2019년~2021년까지 식료품 및 주류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였을 것이다. 그리고 이는 비만율의 변화 양상과 흡사할 것이다.
식료품 및 주류에 대한 소비 변화 양상이, 비만율의 변화 양상과 흡사할 것으로 생각한다. 비만율이 증가했다면, 이는 체육활동 뿐만 아니라, 음식 섭취와도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는 것이다. 따라서 해당 데이터도 시각화하여 확인해보면 좋을 것 같다.
✅검증지표: '비만 유병률(체질량지수 기준) 추이(2019~2020)'의 비만율과 '가구 구성별 가구당 월 평균 가계수지'의 '01. 식료품 · 비주류음료' 항목과 '02.주류 · 담배' 중 주류 항목.
📈시각화 형태: 시간에 따른 추이 및 변화 양상을 효과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꺾은선 그래프 사용.
-끝-
그럼 이어서 다음 과제에서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