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삐약이🐥
CGV의 플로우차트 회고! JSON, Git, Github, 그리고 QA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4
더보기
PM삐약이🐥
JSON, Git, Github, 그리고 QA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4
더보기
PM삐약이🐥
카카오페이 단건 결제 API 탐구🔍 스테이징 서버, API, 그리고 RESTful API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3
더보기
PM삐약이🐥
스테이징 서버, API, 그리고 RESTful API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3
더보기
PM삐약이🐥
무신사 서비스 유형 탐구🔍 네이티브 앱, 하이브리드 앱, 웹 앱 방식을 선정하는 기준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2
더보기
PM삐약이🐥
CGV의 플로우차트 회고! JSON, Git, Github, 그리고 QA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4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W6와 W7 학습이 끝난 시점에서, 오늘은 지난 W6D1 과제를 회고해보는 시간을 가져봤다. W6D1 과제를 우선 가시 읽어보고, 추가할 내용들을 아래 이어서 작성해봤다. W6D1 과제 1. 분석할 프로덕트 선정: CGV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cgv.android.movieapp&hl=ko&gl=US CGV - Google Play 앱 더 빠르게, 더 자주 만날 수 있는 내 손안의 CGV play.google.com https://apps.apple.com/kr/app/cgv/id370441190 CGV 이제 CGV앱으로 더욱 풍부한 영화 정보와 편리해진 예매를 만나보세요. 1) 메..
더보기
PM삐약이🐥
JSON, Git, Github, 그리고 QA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4
오늘은 IT프로덕트에서 JSON의 역할과 Git으로 개발 코드를 관리해야 하는 이유, 그리고 QA를 PM의 주도로 진행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공부해보자! . . JSON 이해하기 API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요청과 응답 안에 '데이터'를 넣어 전달해야 하는데, 이때 데이터를 담는 일정한 형식이 필요하다. JSON은 데이터를 주고 받는 가장 대표적인 방식이다. PM의 경우, JSON 파일을 열어 찾고자 하는 키 값에 대응하는 밸류를 읽을 줄 알면 된다고 한다. JSON의 형식: { 키1(Key): 값1(Value), 키2(Key): 값2(Value), } 데이터는 크게 중괄호로 묶고, 이름과 값의 쌍으로 구성된다. 안에 콜론(:)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데이터의 이름, 키(key)를, 오른쪽에는 그에 대응하는..
더보기
PM삐약이🐥
카카오페이 단건 결제 API 탐구🔍 스테이징 서버, API, 그리고 RESTful API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3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오늘은 배운 내용에 따라 카카오페이의 API를 한 번 살펴봤다! 그리고 '단건 결제' 기능을 중심으로 API의 기능과 구조를 정리해보았다. 카카오페이 (Kakao Pay) 카카오는 2014년 국내 최초 간편 결제 시스템인 카카오페이를 구축했다. 그리고 지금은 카카오톡 송금 서비스, 대출 비교 서비스, 카카오페이 증권 및 펀드 상품, KP보험 상품 등을 제공하고 있다. 카카오톡을 이용하는 이용자라면, 카카오페이도 어렵지않게 이용해봤을 것이다. 카카오페이 API는 실물 카드나 현금 없이도 PC와 모바일 웹, 모바일 앱에서 손쉽게 결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들은 별도의 앱을 설치하지 않고 카카오톡에서 비밀번호 하나로 편리하고 안전하게 결제할 수 있다. ..
더보기
PM삐약이🐥
스테이징 서버, API, 그리고 RESTful API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3
오늘은 출시 전 제품의 테스트 과정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IT 서비스에서 API의 역할은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자. . . 개발팀과 소통하기 사용자와 클라이언트, 즉 프론트엔드 영역을 개발하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백엔드 영역을 개발하는 백엔드 개발자, 서비스 흐름에 따라 풀스택 개발자, UI디자이너, 퍼블리셔, 데이터엔지니어 등이 있다고 앞서 공부했었다. 개발자의 직무명은 제품의 종류, 팀 구성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한다. 다양한 전문가로 이뤄진 개발팀과 원활한 소통을 할 수 있기 위해, 기업은 개발 리드(Tech Lead)를 둔다. 개발 리드는 팀의 소통과 업무 전반을 책임진다. 보통은 시니어 리드 또는 리드 전담 인력이 개발 리드 역할을 하게 되고, 경영진 레벨로 확장되면 CTO가..
더보기
PM삐약이🐥
무신사 서비스 유형 탐구🔍 네이티브 앱, 하이브리드 앱, 웹 앱 방식을 선정하는 기준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2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오늘은 '무신사'의 프로덕트 유형을 살펴보고, 프로덕트 런칭 당시의 유형을 선택한 이유를 고민하고 찾아보며, 다른 유형으로의 확장을 구상해보는 과제를 해보았다. 무신사의 프로덕트 유형 프로덕트 유형을 살펴보는데 도움이 될 것 같아, 국내 IT 기업들의 기술 스택을 볼 수 있는 '코드너리'라는 사이트를 통해 무신사 서비스의 기술 스택을 먼저 살펴봤다. * 참고로 '데브옵스'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의 하나로, 개발(development)과 운영(operation)을 결합한 혼성어이다. DevOps는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빠른 속도로 제공할 수 있도록 조직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문화 철학, 방식 및 도구의 조합으로, 기존의 소프트웨어 개발 및 인프라 관리 ..
더보기
모든 글
CGV의 플로우차트 회고! JSON, Git, Github, 그리고 QA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4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W6와 W7 학습이 끝난 시점에서, 오늘은 지난 W6D1 과제를 회고해보는 시간을 가져봤다. W6D1 과제를 우선 가시 읽어보고, 추가할 내용들을 아래 이어서 작성해봤다. W6D1 과제 1. 분석할 프로덕트 선정: CGV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cgv.android.movieapp&hl=ko&gl=US CGV - Google Play 앱 더 빠르게, 더 자주 만날 수 있는 내 손안의 CGV play.google.com https://apps.apple.com/kr/app/cgv/id370441190 CGV 이제 CGV앱으로 더욱 풍부한 영화 정보와 편리해진 예매를 만나보세요. 1) 메..
더보기
JSON, Git, Github, 그리고 QA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4
오늘은 IT프로덕트에서 JSON의 역할과 Git으로 개발 코드를 관리해야 하는 이유, 그리고 QA를 PM의 주도로 진행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공부해보자! . . JSON 이해하기 API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요청과 응답 안에 '데이터'를 넣어 전달해야 하는데, 이때 데이터를 담는 일정한 형식이 필요하다. JSON은 데이터를 주고 받는 가장 대표적인 방식이다. PM의 경우, JSON 파일을 열어 찾고자 하는 키 값에 대응하는 밸류를 읽을 줄 알면 된다고 한다. JSON의 형식: { 키1(Key): 값1(Value), 키2(Key): 값2(Value), } 데이터는 크게 중괄호로 묶고, 이름과 값의 쌍으로 구성된다. 안에 콜론(:)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데이터의 이름, 키(key)를, 오른쪽에는 그에 대응하는..
더보기
카카오페이 단건 결제 API 탐구🔍 스테이징 서버, API, 그리고 RESTful API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3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오늘은 배운 내용에 따라 카카오페이의 API를 한 번 살펴봤다! 그리고 '단건 결제' 기능을 중심으로 API의 기능과 구조를 정리해보았다. 카카오페이 (Kakao Pay) 카카오는 2014년 국내 최초 간편 결제 시스템인 카카오페이를 구축했다. 그리고 지금은 카카오톡 송금 서비스, 대출 비교 서비스, 카카오페이 증권 및 펀드 상품, KP보험 상품 등을 제공하고 있다. 카카오톡을 이용하는 이용자라면, 카카오페이도 어렵지않게 이용해봤을 것이다. 카카오페이 API는 실물 카드나 현금 없이도 PC와 모바일 웹, 모바일 앱에서 손쉽게 결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들은 별도의 앱을 설치하지 않고 카카오톡에서 비밀번호 하나로 편리하고 안전하게 결제할 수 있다. ..
더보기
스테이징 서버, API, 그리고 RESTful API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3
오늘은 출시 전 제품의 테스트 과정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IT 서비스에서 API의 역할은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자. . . 개발팀과 소통하기 사용자와 클라이언트, 즉 프론트엔드 영역을 개발하는 프론트엔드 개발자,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백엔드 영역을 개발하는 백엔드 개발자, 서비스 흐름에 따라 풀스택 개발자, UI디자이너, 퍼블리셔, 데이터엔지니어 등이 있다고 앞서 공부했었다. 개발자의 직무명은 제품의 종류, 팀 구성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한다. 다양한 전문가로 이뤄진 개발팀과 원활한 소통을 할 수 있기 위해, 기업은 개발 리드(Tech Lead)를 둔다. 개발 리드는 팀의 소통과 업무 전반을 책임진다. 보통은 시니어 리드 또는 리드 전담 인력이 개발 리드 역할을 하게 되고, 경영진 레벨로 확장되면 CTO가..
더보기
무신사 서비스 유형 탐구🔍 네이티브 앱, 하이브리드 앱, 웹 앱 방식을 선정하는 기준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2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오늘은 '무신사'의 프로덕트 유형을 살펴보고, 프로덕트 런칭 당시의 유형을 선택한 이유를 고민하고 찾아보며, 다른 유형으로의 확장을 구상해보는 과제를 해보았다. 무신사의 프로덕트 유형 프로덕트 유형을 살펴보는데 도움이 될 것 같아, 국내 IT 기업들의 기술 스택을 볼 수 있는 '코드너리'라는 사이트를 통해 무신사 서비스의 기술 스택을 먼저 살펴봤다. * 참고로 '데브옵스'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의 하나로, 개발(development)과 운영(operation)을 결합한 혼성어이다. DevOps는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빠른 속도로 제공할 수 있도록 조직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문화 철학, 방식 및 도구의 조합으로, 기존의 소프트웨어 개발 및 인프라 관리 ..
더보기
네이티브 앱, 하이브리드 앱, 웹 앱 방식을 선정하는 기준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2
오늘은 네이티브 앱, 하이브리드 앱, 웹 앱 방식을 선정하는 기준을 중심으로 공부했다. 개발 과정에서 기술 스택을 선정하는 데 중요한 사항들은 무엇이 있는지도 함께 살펴보자! . . 앱 서비스의 이해 최근의 앱 개발은 웹 - 앱 통합환경 구현 서비스들이 많다. 그렇다면 모바일 기반의 앱서비스와 PC기반 웹서비스는 얼마나 차이가 날까? 모바일 기반 앱 서비스는 개발이나 실행 방법에 따라 총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1) 네이티브 앱 모바일 기기에 최적화된 앱이다. 기기정보에 직접 접근할 수 있고, 관련 정보로 데이터도 추적할 수 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나 앱스토어에 등록하여 판매 및 설치도 가능하다. 게임, SNS 서비스가 주로 네이티브를 선택한다. 네이티브 앱은 크게 Swift언어로 개발된 iOS와 C..
더보기
29cm의 웹페이지를 분석해보자! 서버, 클라이언트, 그리고 프레임워크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1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오늘은 개발자 도구를 통해 29cm 웹 페이지의 구조와 디자인 요소, 그리고 페이지 내 인터랙션을 분석해보는 과제를 해봤다. HTML : 화면의 구성 요소들이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지 구조를 정리해 분석해보자. HTML은 웹페이지의 뼈대를 만드는 언어이다. 뼈대를 형성하기 위해 HTML은 기본 구조인 와 로 구성된다. head태그는 웹페이지의 정보를 담고 있는 범위이고, body태그는 웹페이지의 구조를 담고 있는 범위로 볼 수 있다. 그럼 29cm에서는 head태그와 body태그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자. : "감도 깊은 취향 셀렉트샵 29CM" 이라는 title 정보를 먼저 확인할 수 있었다. 태그는 웹페이지의 정보를 담고 있는 영역으로, 검색..
더보기
서버, 클라이언트, 그리고 프레임워크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7D1
오늘은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구조와 역할, 그리고 현대의 개발에서 프레임워크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공부했다. 그럼 7주차 공부도 힘내보자! . . IT 서비스란? IT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정보를 어떻게 다루느냐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구성한다. IT 서비스의 기본적인 구조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있다. 클라이언트는 서비스에 접근한 사용자의 디바이스이고,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주체로 서버를 제공하는 컴퓨터를 의미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인터넷으로 연결되고, 서로 통신을 주고받으면서 서비스를 구성한다. 사용자는 웹이나 모바일 등 다양한 경로로 클라이언트에 접속하고, 서비스를 만난다. 이때 접점은 서비스의 UI가 된다. 사용자는 UI를 인식하고는 곧 여러 기능을 조작한다. 클라이언트는..
더보기
코로나19와 비만율의 관계는? 데이터 시각화와 DDDM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6D4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오늘 과제는 지난 W6D3과제에 이어서, 가설을 확인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확인하고 시각화해보고자 했다. * 데이터 가공 및 시각화 모두 우선 엑셀을 사용하였다. 가설1.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2020년 1월 20일부터~2021년까지, 코로나19 발생 이전보다 비만율이 증가했을 것이다. 1) 데이터 가공. 연령, 나이의 특성보다, 2019~2021 기간동안 비만율의 전반적인 변화 추이를 보고자하여, 원래 보고자 하였던 '비만 유병률(체질량지수 기준) 추이(2019~2020)' 통계 자료에서, 성별로만 구분하고, 연령을 '19세 이상'으로 합하여, 남성의 비만율 변화 추이와 여성의 비만율 변화 추이만 보고자 했다. + 추가적으로, 이전 과제..
더보기
데이터 시각화와 DDDM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6D4
오늘은 실무에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리소스를 선택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주어진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공부해보자. . . 데이터 시각화 "데이터 분석 결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전달되는 과정”, "수치 데이터를 시각 형태로 전환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데이터 시각화라고 한다. 데이터 시각화는 단순하게 시각적인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다. 다양한 데이터 시각화의 종류가 있으며 일반적인 그래프뿐 아니라 데이터의 내용과 특성에 맞게 다양한 시각화 기법들을 사용할 수 있다. 대부분 데이터 분석툴이 시각화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그 가운데 Tableau와 Google Data Stusio는 특히 시각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분석한 결과를 빠르게 이해..
더보기
코로나19와 비만율의 관계는? 고객분석 도구, GA, 그리고 Amplitude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6D3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오늘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신뢰도 높은 채널을 알아보고, 데이터 간의 관계를 가설로 세워, 이를 검증할 수 있는 지표를 선정하고, 실제 데이터를 분석하여 결과를 올바르게 해석해보는 과정을 담은 과제를 작성해봤다. 1. Kaggle 또는 공공데이터포털에 접속하여 본인이 관심 있는 주제의 데이터를 찾고 다운받기. 인스타그램이나 다른 SNS를 하다보면, 피트니스 관련 앱의 광고를 많이 볼 수 있었는데, 그러면서 자연스레 궁금증이 생겼다. 피트니스 앱이 시중에 많이 나와있다는 것은, 홈트를 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 어쩌면 비만율이 증가했기때문에, 피트니스 시장이 더욱 커..
더보기
고객분석 도구, GA, 그리고 Amplitude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6D3
오늘은 고객 데이터 분석 도구가 무엇이며, 선택할 때 고려해야하는 점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자! . . 고객 데이터 분석을 위해 필요한 작업 고객 행동을 분석할 수 있는 지표와 분석 시법은 다양하다. 앞서 포스팅에서 다뤘던 퍼널 분석, AARRR, A/B테스트, 고객세분화 기법, 코호트 분석 등이 있다. 기법들을 활용할 수 있기 위해서, 핵심 지표를 특정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데이터이다. 하지만 프로덕트 단계별, 상황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들이 필요한데, 일일이 사람이 직접 수집하기란 쉽지 않다.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도 복잡한데, 수집한 이후에 진행해야할 작업도 많다. 분석 방법 및 분석 모델을 설계해야 하고, 이어 모델이 실제 고객 행동을 놓치지 않고 추적하도록 코드를 서비스에 심어야 한다. 이렇게..
더보기
리멤버의 프로덕트 유형 및 사업 단계를 살펴보자🔍 린 분석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6D2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오늘은 핵심 개념인 '린 분석'을 중심으로, 사업 단계별, 프로덕트 유형별 필요한 제품 성장 지표와 분석 방법에 대해 학습했다. 아직 린 분석이 무엇이다라고 명확하게 설명은 못하겠지만.. 과제를 하면서 감을 좀 찾아볼 수 있길..!! 바란다!! 🙏 과제: 프로덕트 하나를 선택하여, 어떤 유형의 서비스에 해당하고, 어떤 사업 단계에 있는지, 그리고 어떤 전략을 채택하고 있는지 생각해보기. 1. 분석할 프로덕트 선정: 리멤버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kr.co.rememberapp&hl=ko&gl=US 리멤버 - 직장인 필수앱 - Google Play 앱 일 잘하는 직장인이라면 리멤버가 필수? 스카웃..
더보기
린 분석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6D2
오늘은 데이터 기반 제품 분석 방법인 '린 분석'을 사용해 사업 단계별 및 프로덕트 유형별 제품 분석 방법을 설계하는 것을 학습했다. . . 데이터에서 프로덕트 인사이트를 찾아내기 위해 해야할 일 제품을 분석하기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했다, 필요에 따라 DB에서 고객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할 수도 있다. 그럼 이제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그럼 어떻게 제품을 제대로 분석할 수 있을까? PM은 프로덕트, 고객, 그리고 시장에 관한 질문을 계속해서 생각해내고, 그에 대답할 수 있어야 한다. '데이터'를 통해 '고객'의 행동을 분석해 '프로덕트 인사이트'를 발견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질문들은 아래와 같다: 해당 프로덕트에 맞는 고객 유입은 무엇인가? 프로덕트 성장을 위해 우리는 고객에게 어떤 행동을 원하는가?..
더보기
CGV의 Flow Chart를 그려보자! 데이터베이스, DBMS 그리고 SQL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6D1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제품에서 수집되는 고객 데이터의 종류를 사용 목적에 맞게 구분하는 방법, 고객 데이터가 실제 데이터 베이스에 수집, 가공, 구축되는 절차에 대해 학습했다. 학습한 내용을 활용하여, 오늘은 CGV 앱에서 고객이 할 수 있는 행동에 대한 Flow Chart를 작성해보려고 한다. 더 나아가, CGV의 가장 핵심적인 기능을 선택하여, UI, 클라이언트, 서버, DB가 각각 어떻게 보이고 작동할지도 작성해보려고 했다. W6D1 1탄 내용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 보자👇 2023.03.14 - [PM삐약이🐥] - 데이터베이스, DBMS 그리고 SQL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6D1 데이터베이스, DBMS 그리고 SQL 1탄 | 코드스테이츠 P..
더보기
데이터베이스, DBMS 그리고 SQL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6D1
오늘은 제품에서 수집되는 고객 데이터의 종류를 사용 목적에 맞게 구분하는 방법, 고객 데이터가 실제 데이터 베이스에 수집, 가공, 구축되는 절차에 대해 학습했다. . . IT 프로덕트와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IT를 모르시는 분들은 아마 없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IT 프로덕트에서 데이터가 움직이는 흐름에 대해서는 잘 생각해보지 않았을 수도 있을 것 같다는 생각에... IT프로덕트에서 데이터가 움직이는 과정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먼저 클라이언트 단계로 고객 컴퓨터, 스마트폰 등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가 있고 >> 고객 장치에서 앱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 앱이 구동되는 서버에서 데이터를 받으면 >> 데이터베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 데이터베이스는 고객 데이터를 받아 필요한 데이터를 정리해서 다시 서버..
더보기
💡앞으로 멜론이 나아가야할 방향은? | [멜론] 분석 프로젝트 (3) - 그로스전략을 중심으로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이번주 Weekly 탐구 주제🧐 : 멜론 app 프로덕트 성장 전략 기획 지난 과제의 MVP 구체화 한 기획을 성장시키는 전략을 세웁니다. mission 1. 📌 어떻게 Growth Point를 찾았는가? 분석 중인 프로덕트가 실행 중인 전략은 어떠한 것이 있는지 1, 2가지를 설명합니다. 전략 설정의 배경에는 어떠한 주요 포인트와 목적에는 무엇이 있었을지 생각해봅니다. 해당 프로덕트는 Growth Point를 찾았는지에 대한 의견을 작성해주세요. 멜론이 실행 중인 전략을 중심으로 조사를 해보았다. 크게 4가지 전략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1) 오리지널 콘텐츠 전략: 멜론은 사용자들에게 더욱 다양한 즐길거리를 제공하고, 사용자들의 이용 시간과 만족도를 ..
더보기
A/B 테스트의 구성과 P-value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5D4
또 다시 찾아온 금요일! 이번 주차의 마지막 세션도 야무지게 공부를 해볼까? 오늘은 A/B 테스트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유의해야 하는 사항과 P-value를 통해 A/B 테스트 결과를 판단하는 방법을 공부했다. 그럼 같이 내용을 정리해보자! . . A/B 테스트의 구성 A/B 테스트의 구성 단계: 1단계: A/B 테스트 세팅 2단계: 테스트 대상자를 A/B 두 그룹으로 분류 3단계: 2가지 버전의 테스트 자료 제작 4단계: 테스트 자료를 A/B 그룹에 각각 제공 5단계: 각 그룹이 어떻게 반응했는지 데이터 분석 (지속시간, 전환율, 이탈률 등) 6단계: 통계적 유의성 (P-value)계산 (0.05 미만에 해당하는지) 7단계: 결과가 우수한 내용을 실전에 반영 1부터 3단계는 고객을 만나기 위한 준비 과정..
더보기
쏘카와 Zipcar의 A/B 테스트가 궁금해!! User Segmentation, Cohort 분석 및 A/B 테스트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5D3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앞서 W5D3 1탄 글에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그럼 이번 2탄 글에서는 공부한 내용을 적용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자. W5D3 1탄 내용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 보자👇 2023.03.09 - [PM삐약이🐥] - User Segmentation, Cohort 분석 및 A/B 테스트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5D3 User Segmentation, Cohort 분석 및 A/B 테스트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5D3 오늘은 사용자를 세분화하여 고객 데이터를 분석하고, 제품 전략을 수립하는 방법과 A/B 테스트에 관해 학습했다. 그럼 오늘도 공부한 내용을 잘 정리해보자! . . User Segmentation과 ..
더보기
User Segmentation, Cohort 분석 및 A/B 테스트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5D3
오늘은 사용자를 세분화하여 고객 데이터를 분석하고, 제품 전략을 수립하는 방법과 A/B 테스트에 관해 학습했다. 그럼 오늘도 공부한 내용을 잘 정리해보자! . . User Segmentation과 Cohort Analysis 고객이 남긴 데이터를 추적하고 파악하는 것은 서비스에 있어 아주 중요하다. 하지만 고객마다 특성이 다르고, 유입된 기간에 따라 행동하는 양식이 달라질 수도 있다, 이런 경우는 기존의 퍼널 분석, AARRR만으로는 알아내기 힘들다. 이때 '개인화'를 위한 데이터 분석 기법으로 '사용자 세분화(User Segmentation)'와 '코호트 분석(Cohort Analysis)'을 활용하여 고객을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 세분화(User Segmentation) : ‘사용자 세..
더보기
원티드의 퍼널을 분석해보자! Funnel분석 및 AARRR 분석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5D2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앞서 W5D2 1탄 글에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그럼 이번 2탄 글에서는 공부한 내용을 적용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자. W5D2 1탄 내용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 보자👇 2023.03.08 - [PM삐약이🐥] - Funnel분석 및 AARRR 분석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5D2 Funnel분석 및 AARRR 분석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5D2 오늘은 퍼널 및 AARRR 분석 기법을 사용해 제품 문제 분석 및 개선안을 도출하는 방법을 공부했다. 우당탕탕 PM 되기! 그럼 오늘도 시작해보자!🥳 . . 그로스 해킹이란 “서비스의 주요 지표를 꾸 chaemrry.tistory.com 과제: AARRR 분석 후 ..
더보기
Funnel분석 및 AARRR 분석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5D2
오늘은 퍼널 및 AARRR 분석 기법을 사용해 제품 문제 분석 및 개선안을 도출하는 방법을 공부했다. 우당탕탕 PM 되기! 그럼 오늘도 시작해보자!🥳 . . 그로스 해킹이란 “서비스의 주요 지표를 꾸준히 파악하고 분석해 사용자 흐름을 최적화하는 동시에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는 정량적 마케팅 기법”이라고 앞에서 배운 바 있다. 정성적, 정량적 데이터를 통해 최저 비용, 최고 효율로 제품을 개선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를 위해 PM은 “이탈”을 막고 “전환”을 높이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 전환이란, 비단 추천뿐 아니라 물건을 구매하고 서비스를 구독하는 등 비즈니스에 직접 기여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이 행위를 확인하기 위해 “전환율"이라는 것을 설정하고, 전환율을 제대로 측정하기 위한 기법도 사용한다. P..
더보기
크림의 그로스 전략은? 그로스해킹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5D1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앞서 W5D1 1탄 글에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그럼 이번 2탄 글에서는 공부한 내용을 적용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자. W5D1 내용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 보자👇 2023.03.07 - [PM삐약이🐥]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5D1_그로스해킹 1탄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5D1_그로스해킹 1탄 주말동안 조금 아파서..ㅠ 몸도 마음도 좀 다운이 되었었는데.. W5D1 세션 시작할 때가 되니까 ㅎㅎ 또 괜찮아졌다✨ (설마..몸이 공부하는걸 좋아하나봐..) 그럼 W5D1 그로스해킹과 관련해서 학습 chaemrry.tistory.com 과제: 자주 사용하는 프로덕트를 1개 선택, 그로스 해킹 전략을 분석 후 더 나은..
더보기
그로스해킹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5D1
주말동안 조금 아파서..ㅠ 몸도 마음도 좀 다운이 되었었는데.. W5D1 세션 시작할 때가 되니까 ㅎㅎ 또 괜찮아졌다✨ (설마..몸이 공부하는걸 좋아하나봐..) 그럼 W5D1 그로스해킹과 관련해서 학습한 내용을 정리해보자! . . 그로스해킹이란? 서비스의 주요 지표를 꾸준히 파악하고 분석해 사용자 흐름을 최적화하는 동시에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는 전략적 마케팅 기법이다. 고객의 취향을 파악하고, 더 효과적으로 고객에게 접근해 저비용으로 최고의 광고 효용을 추구하는 기법으로 알려져있다. 하지만 그로스해킹은 어떤 문제를 발견해 그 포인트를 시작으로 성장시켜 나가는 모든 것에 접목할 수 있는 개념이기도 하다. '그로스해킹'은 션 엘리스가 최초로 제안한 개념이다. 그는 온라인 기반 서비스를 만드는 스타트업의 특징..
더보기
💡앞으로 멜론이 나아가야할 방향은? | [멜론] 분석 프로젝트 (3) - 프로덕트 UX개선 및 개발 해보기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이번주 Weekly 탐구 주제🧐 : 멜론 프로덕트 UX 개선/개발 해보기 지난 위클리 프로젝트에서 기획한 MVP를 구체화합니다. mission 1. 📌 기능정의 시나리오 상, 프로덕트 컨셉 상 필요한 기능들 모두 리스트업 합니다(세부적인 기능, 각 기능의 목적) 유사한 기능들끼리 그룹핑 합니다. 각각 기능들에 대한 정의 / 필요한 내용 & 컨텐츠에 대한 설명 작성합니다. 우선순위가 높은 기능부터 작성합니다. 프로덕트 컨셉 상 다음과 같은 기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mission 2. 📌 정보구조도 IA 설계 개선이 필요한 화면의 정보 구조도를 설계합니다. 개선이 필요한 화면의 정보구조도를 설계해봤다: mission 3. 📌 화면 디자인(Wirefr..
더보기
카카오맵의 와이어프레임을 만들어보자! Figma, 디자인 시스템 및 UX라이팅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4D4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과제: Figma를 활용해 Wireframe를 제작과 스토리보드 작성, 그리고 UX 라이팅해보기 분석할 프로덕트 선정: 카카오맵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net.daum.android.map&hl=ko&gl=US 카카오맵 - 지도 / 내비게이션 / 길찾기 / 위치공유 - Google Play 앱 당신을 좋은 곳으로 이끌어 줄 지도 play.google.com https://apps.apple.com/kr/app/%EC%B9%B4%EC%B9%B4%EC%98%A4%EB%A7%B5-%EB%8C%80%ED%95%9C%EB%AF%BC%EA%B5%AD-no-1-%EC%A7%80%EB%8F%84%EC%95%B..
더보기
캐치테이블의 유저 플로우, 그리고 개선점 와이어프레임을 그려보자! UX 설계, 와이어프레임과 프로토타이핑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4D3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앞서 W4D3에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그럼 이번 2탄 글에서는 공부한 내용을 적용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자. W4D3 내용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 보자👇 2023.03.02 - [PM삐약이🐥] - [코드스테이츠 PMB부트캠프 17기] W4D3_UX 설계, 와이어프레임과 프로토타이핑 1탄 [코드스테이츠 PMB부트캠프 17기] W4D3_UX 설계, 와이어프레임과 프로토타이핑 1탄 갑자기.. 뜬금없이 감기에 걸려버렸다😥 코맹맹이 소리에 정신은 멍하다..ㅠ 그래도 존버,,해보자..! 제품 개선하기 개선하기 쉽도록 서비스를 콘텐츠, 정보, 단계, 인터페이스, 상호작용, 기능 chaemrry.tistory.com 과제: 프로덕트의 사용자 행..
더보기
UX 설계, 와이어프레임과 프로토타이핑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4D3
갑자기.. 뜬금없이 감기에 걸려버렸다😥 코맹맹이 소리에 정신은 멍하다..ㅠ 그래도 존버,,해보자..! 제품 개선하기 개선하기 쉽도록 서비스를 콘텐츠, 정보, 단계, 인터페이스, 상호작용, 기능으로 분류해서 문제를 해결할 지점을 찾고 어떻게 해결할지 접근해 볼 수 있다고 한다: 1. 콘텐츠 텍스트, 그림, 소리, 동영상 등을 묶어 콘텐츠라고 한다. 콘텐츠는 사용자의 흐름을 해치지 않고 패턴을 분석해 배치해야 하고, 업데이트도 중요하다. 2. 정보 서비스에는 서비스 사용 설명이나 개인 정보 약관, 업데이트 사항과 같은 필수로 알려야 하는 정보가 있다. 한 번에 다 보여주지 못하면 잘 찾을 수 있게 표시해야 한다. 3. 흐름 검색하고 결과를 보여주는 흐름, 회원가입을 하는 흐름, 구매하는 흐름. 흐름에서 조금..
더보기
스픽의 앱 리뷰를 분석해보자! UX 서비스 디자인 기법 및 요구사항 수집을 통한 문제 정의 방법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4D2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앞서 W4D2에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그럼 이번 2탄 글에서는 공부한 내용을 적용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자. W4D2 내용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 보자👇 2023.02.28 - [PM삐약이🐥] - [코드스테이츠 PMB부트캠프 17기] W4D2_UX 서비스 디자인 기법 및 요구사항 수집을 통한 문제 정의 방법 1탄 [코드스테이츠 PMB부트캠프 17기] W4D2_UX 서비스 디자인 기법 및 요구사항 수집을 통한 문제 정의 오늘은 UX 서비스 디자인 기법과 요구사항을 수집하는 방법에 대해서 공부했다. 그럼 오늘도 한 번 야무지게 정리해볼까! 현업에서는 어떻게 서비스를 기획하고 설계(Design)할까? UX 서비스 디자 chaemrry...
더보기
UX 서비스 디자인 기법 및 요구사항 수집을 통한 문제 정의 방법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4D2
오늘은 UX 서비스 디자인 기법과 요구사항을 수집하는 방법에 대해서 공부했다. 그럼 오늘도 한 번 야무지게 정리해볼까! 현업에서는 어떻게 서비스를 기획하고 설계(Design)할까? UX 서비스 디자인 기법 PM은 서비스의 문제를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해결하는 일을 한다. 회사마다, 팀마다 어울리는 기법을 택해 서비스를 디자인을 하는데, 이 기법들은 작업 방식과 스킬, 때로는 사고방식을 의미한다. 현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UX 디자인 기법은 다음과 같이 몇 가지가 있다: 1. 디자인 씽킹 Design thinking 디자인 씽킹은 디자이너의 관점으로 사용자가 겪는 문제를 찾아 정의하고 솔루션을 찾는 방법론이다. 사용자의 니즈, 기술의 가능성, 비즈니스 요구 사항의 접점을 찾아 나가는 과정이다. 혁신적이고 다..
더보기
내가 경험한 스픽의 User Experience! UX/UI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4D1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앞서 W4D1에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그럼 이번 2탄 글에서는 공부한 내용을 적용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자. W4D1 내용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 보자👇 2023.02.27 - [PM삐약이🐥] - [코드스테이츠 PMB부트캠프 17기] W4D1_UX/UI 1탄 [코드스테이츠 PMB부트캠프 17기] W4D1_UX/UI 1탄 정말 시간이 빨리 가는 것 같다.. 매일 책상 앞에 앉기만 하면, 하루가 다 가있다😲 부트캠프에 쏟은 시간이 언젠가는 돌아오겠지?? 그럼 4주차도 힘을 내보자! PM의 눈으로 고객을 위한 프로덕트 chaemrry.tistory.com 과제: 모바일 앱 프로덕트 1개 선택하여, 사용자 관점으로 탐색해보고 PM의 관점..
더보기
UX/UI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4D1
정말 시간이 빨리 가는 것 같다.. 매일 책상 앞에 앉기만 하면, 하루가 다 가있다😲 부트캠프에 쏟은 시간이 언젠가는 돌아오겠지?? 그럼 4주차도 힘을 내보자! PM의 눈으로 고객을 위한 프로덕트를 설계하는 법 UX란?? UX, UI, GUI 개념과 차이 애플 컴퓨터의 부사장으로 일한 바 있는 디자이너이자 인지 심리학자, 도널드 노먼은 “좋은 시스템 디자인은 제품을 선택하고 구매해서 사용하고 최종적으로 이해하는 단계까지, 모든 과정이 하나의 경험으로 녹아들 수 있어야 한다. 그 단계들을 각각 조각으로 디자인하다 보면 과정은 복잡해지고 전체의 조화는 깨질 것이다. 제품과 서비스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보고 인간과 사회를 배려하며 디자인하는 것은 결국 사용자의 경험을 디자인하는 일이다.”라고 말했다. UX의 본..
더보기
💡앞으로 멜론이 나아가야할 방향은? | [멜론] 분석 프로젝트 (2) - MVP를 중심으로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이번주 Weekly 탐구 주제🧐 : 멜론 app MVP 기획 (Minimum Viable Product) 지난 Design Thinking Process 에서 발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의 MVP 를 기획합니다. mission 1. 📌 프로덕트(기능) 기획 멜론에 추가되는 새로운 기능 또는 화면 하나를 새로운 제품으로 바라봅니다.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 기능 정의 기능이 가져야할 속성을 최대한 구체적으로 작성해 봅니다. MVP를 만들기 위해 최소한의 기능만을 정의합니다. 우선 지난 포스팅에서 발견한 '멜론'의 문제점을 정리해 보자면 다음과 같다: 멜론에서 제공하는 콘텐츠가 너무 많아서 오히려 앱을 사용할 때 불쾌감이 든다. 유튜브 뮤직만큼..
더보기
OKR, 목표 및 핵심 결과 지표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3D4
이렇게 또 한 주의 세션이 끝났다!! 매일 충실하게 보내니까 시간도 정말 빨리 가는 것 같다🥹. 부트캠프가 끝났을 때 쯤이면.. 나는 얼마나 많이 성장해 있을까?? 빡센 나날이지만, 기쁜 마음으로 13주 후의 내 모습을 기대하고 있다. . . 그럼 오늘 배운 OKR도 한 번 복습해볼까? 우리는 지금 잘 가고 있는걸까? 지난 시간 KPI를 통해 핵심 지표를 설정하고 팀과 공유해서, '우리는 지금 잘 가고 있는걸까?' 를 판단할 수 있었다. 하지만 KPI 외에도, 핵심지표를 설정할 수 있고, 관리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OKR이다. OKR, 목표 및 핵심 결과 지표 OKR 이란 'Objective and Key Results'로, 목표 및 핵심 결과 지표를 이야기 한다. 조직적 차원에서..
더보기
런드리고의 KPI를 탐구해보고 새로운 목표를 정해보자!✨ KPI 및 OKR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3D3-W3D4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앞서 W3D3, W3D4에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그럼 이번 2탄 글에서는 공부한 내용을 적용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자. W3D3 내용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 보자👇 2023.02.22 - [PM삐약이🐥]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3D3_KPI, Vanity Metric, 그리고 Actionable Metric 1탄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3D3_KPI, Vanity Metric, 그리고 Actionable Metric 1탄 이제 3주차 3일째인데..몸이 벌써 찌뿌둥하고 그렇다 ㅠ 하루만 어디 나가서 놀고 싶은 마음이다😂 그래도 뭐.. 힘내야지.. 그럼 오늘 배운 KPI, Vanity Metric, 그리고 Act..
더보기
KPI, Vanity Metric, 그리고 Actionable Metric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3D3
이제 3주차 3일째인데..몸이 벌써 찌뿌둥하고 그렇다 ㅠ 하루만 어디 나가서 놀고 싶은 마음이다😂 그래도 뭐.. 힘내야지.. 그럼 오늘 배운 KPI, Vanity Metric, 그리고 Actionable Metric에 대한 내용도 정리해보자!! 우리는 지금 잘 가고 있는걸까? 이 질문에 대답을 할 수 있기 위해 어떤 것을 봐야 하는지 오늘은 배웠다, 그리고 아래 내용을 기반으로 기업은, "현재 우리가 집중하고 있는 것이 과연 옳은 것일까?", "어떤 지표를 통해 잘 하고 있는지 스스로 평가할 수 있을까?", "성장하기 위해서 어떤 지표를 개선해야 하는 걸까?", "공통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선 어떤 지표를 통해 이야기 해야 할까?"와 같은 질문들에 대한 답을 할 수 있게 된다. KPI, Key Perfo..
더보기
런드리고 PMF 탐구! Pricing, PMF, 그리고 PDC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3D2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앞서 1탄에서 W3D2에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그럼 이번 2탄 글에서는 공부한 내용을 적용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자. 1탄 글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 보자👇 2023.02.21 - [PM삐약이🐥]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3D2_Pricing, PMF, 그리고 PDC 1탄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3D2_Pricing, PMF, 그리고 PDC 1탄 어제 BM을 분석해봤는데, 좀 어려웠다.. 언제 좀 쉬워질 수 있을까.. 역시..배움이란..어렵당..0ㅅ0 그래도 힘차게 가보자고! Pricing Pricing이란 가격 책정 또는 가격 전략 또는 소비자가 느끼는 제품 chaemrry.tistory.com 과제: 이 기..
더보기
Pricing, PMF, 그리고 PDC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3D2
어제 BM을 분석해봤는데, 좀 어려웠다.. 언제 좀 쉬워질 수 있을까.. 역시..배움이란..어렵당..0ㅅ0 그래도 힘차게 가보자고! Pricing Pricing이란 가격 책정 또는 가격 전략 또는 소비자가 느끼는 제품의 가치를 말한다. Pricing을 결정할 때는 우리가 BM을 설정했을 때 고려했던, 고가전략과 저가 전략을 고려해서 접근할 수 있다고 한다. pricing은 제품의 포지셔닝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생각해보면 당연한 것 같다🤔) Pricing은 단순히 프로덕트에 가격을 매기는 행위에 그치지 않는다. Pricing은 운영비 효율성을 끌어올리는 가장 중요한 결정요소이자, 숫자 이상의 시그널이다. 가격은 고객이 해당 프로덕트를 어떻게 받아들이는지에도 영향을 미친다. 예컨대 우리가 마트..
더보기
런드리고 비즈니스 모델 탐구! BM, UA 그리고 BMC 2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3D1
[ 본 포스팅은 PC 환경에서 보시길 권장합니다 ] 앞서 1탄에서 W3D1에서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그럼 이번 2탄 글에서는 공부한 내용을 적용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자. 1탄 글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 보자👇 2023.02.20 - [PM삐약이🐥]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3D1_BM, UA 그리고 BMC 1탄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3D1_BM, UA 그리고 BMC 1탄 이제 점점 더 구체적이고 어려운 내용에 대해 학습하고 있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 그러니까..어렵다는 말이다..😵💫 그래도 재밌어서 힘들지는 않고, 내용이 알찬 느낌이라서 뿌듯한 기 chaemrry.tistory.com 과제: 내가 좋아하는 프로덕트의 BM은 어떻게 생겼을까? 1. 분석..
더보기
BM, UA 그리고 BMC 1탄 | 코드스테이츠 PMB 17기 W3D1
이제 점점 더 구체적이고 어려운 내용에 대해 학습하고 있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 그러니까..어렵다는 말이다..😵💫 그래도 재밌어서 힘들지는 않고, 내용이 알찬 느낌이라서 뿌듯한 기분이다. 쨌든, 새로운 한 주도 화이팅이고! 오늘 배운 BM, UA 그리고 BMC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보자! Busiess Modle (BM) BM이란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를 어떻게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어떻게 마케팅하며, 어떻게 돈을 벌 것인가 라는 계획 또는 사업 아이디어이다. 앞서 PM은 고객을 중심으로 고객가치와 사업가치를 모두 충족시켜야 하는 사람이라 배운 바 있는데, 사업가치를 올리기 위해서는 BM이라고 하는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에, 오늘 세션에 해당 내용이 포함되었다고 ..
더보기